[기초통계학] 14주차 과제
기초통계학 과제 #7
2-1. 1800개의 자료가 있다. 이 자료의 평균을 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능하면 (추정)값도 제시하시오.
교수님께 pdf로 파일을 주시니 일일이 평균을 구한 학생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안 된다고, 방법만을 제시하라고 하신 것 또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슬프게도 교수님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학생이기에, 일일이 평균을 구하는 학생 2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인 만큼 C를 이용하여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
float scores[5] = { 1, 2, 3, 4, 5 };
// 1800개를 구하려면 scores [1800] = { 1, 2, 3, ... 1800 }, pdf에서 평균 자료들을 모두 긁어 붙여넣기
float sum = 0.0f;
// 소수점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float형은 안 붙여도 그만
float average;
for (int i = 0; i < sizeof(scores) / sizeof(float); i++) {
sum += scores[i];
}
average = sum / (sizeof(scores) / sizeof(float));
printf("%f\n", average);
return 0;
}
2-2. 다음은 어느 클래스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성적에 대한 자료이다. 중간고사 87점을 맞은 학생이 군입대로 기말고사를 치르지 못하였다. 기말고사 점수를 부여한다면 얼마가 적절한지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능하면 기말고사 성적도 제시하시오.
군입대는 사회로의 복귀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재시험이나 추가시험의 여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교수님 과의 협의를 통해, 기말고사를 미리 본다면 나름대로 괜찮지 않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제일 현실적인 방안은 기말고사 성적의 평균값을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상대평가를 실시하는 대학 수업의 특성상, 평균값인 B를 준다면 오히려 후한 점수를 주게 될 수도 있습니다
중간고사 점수의 더블링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만, 편차와 문제수준 등을 고려했을 때 적절치 못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속 편한 방법은 그냥 0점 처리 하는 것이고, 자비의 원칙을 적용한다면 교수님의 재량에 맞게 점수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평소의 태도나 실적, 등.
후기: 1학년의 나는 무슨 생각을 가지고 살았었는가 궁금하다.
2020-12-14 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