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읽기와보기] 담론 주장펼치기 본문
코로나 19로 인해 심화된 인종차별과 혐오
코로나 19로 인해 인종차별이 심해졌다. 이는 개개인의 생각이 아닌 하나의 거대한 사회현상 혹은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상태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세계는 인종차별의 피에스타를 펼치는 상황이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 2020년 1월 23일에 시작된 중국인 입국 금지 요청 청원은 어느새 761.833명의 동의를 받아냈다. 이는 국민들의 반중 정서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가 되는데, 중국 후베이성과 우한에서 오는 입국자들에게 실시되는 철저한 검역과 방역을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중국인들을 향한 힘찬 분노와 혐오를 내보인다. 다만 우리들은 동시에 가해자이면서 피해자라는 것도 알아야 한다. 최근 독일의 지하철에서 한국인에게 “코로나 파티”라고 하거나 한국의 화폐가 ‘코로나’라고 하는 등의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오는 등 심각한 혐오가 이루어지고 있다. 단순히 독일과 아일랜드뿐만 아니라 영국, 스페인과 미국 등 다양한 나라에서 한국인들이 받는 인종차별의 목소리가 새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 19를 대놓고 ‘우한 바이러스’라 지칭하며 WHO에 지원을 중단하는 행동은 명백한 인종 차별과 혐오 분란 조장이라 봐야 할 것이다. 이렇게 차별과 기피가 아무렇지 않게 된 것이 자연스러운 상황일까? 개개인의 독립된 사상과 가치관을 가지던 대중들은 맞서야 할, 혹은 쓰러뜨려야 할 공공의 적이 나타나게 됨으로써 공통된 혐오와 부정의 감정을 가지게 된다. 그 과정에서 사람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이게 되고 다수와 대중의 군중심리에 빠지게 되어 아무런 거리낌 없이 차별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내가 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다 하기 때문”이라는 안일한 생각과 가치관이 자칫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변질할 수 있음을 사람들이 인지하고 알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코로나 19에 대처하는 대중문화, #TogetherAtHome
비록 코로나 19가 대중문화를 위축시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적극 활용하여 사람들은 악조건 아래에서도 그들만의 문화를 즐기기 시작한다. “Viva La Vida”의 가수, 콜드플레이의 크리스 마틴이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켰다. “이른바 Together At Home인데, 혹시 아나? 내일은 또 다른 누군가가 이어서 공연을 하게 될지.” 피아노로 콜드플레이의 히트곡을 노래하며 조회 수 450만을 기록했고 사람들의 관심과 환호를 받았다. 이후 One Republic, Anne Marie나 Jason Mraz, 혹은 국내의 10cm나 선우정아 등의 많은 가수가 좋은 취지를 이어받아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를 지키기 위해 집이나 개인 작업실 등 각자의 공간에서 노래를 부르는 영상을 찍어 콘서트에 참여했다. ‘조금 더 큰 규모인 “놀면 뭐 하니”의 <방구석 콘서트>라는 프로그램 또한 조명받고 있다. 코로나 19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기 위해 스포츠나 음악 콘서트 등이 중단된 지금, 그 아쉬움을 달래고자 세종문화회관에서 관객 없이 콘서트를 여는 프로그램이다. 원래 무수한 라이브 공연이 펼쳐져야 했을 세종문화회관에서 누구보다 열심히 공연해준 가수와 프로듀서 분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이러한 문화 트렌드는 다른 사람들과 접촉을 최소화하는 비대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코로나 19가 바꾼 생활의 모습인 Contact의 반대말 Untact가 문화 예술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무관중 스포츠 경기나 전시 분야에서 AR, 혹은 VR의 콘텐츠 제공, 연예인들의 집에서 보내는 일상 등을 영상으로 만들어 업로드 하는 등 관중의 박수나 호응 등이 없어도 충분히 콘텐츠의 진행이 원활하게 되는, 혹은 그런 방향성에 익숙해지게 될 아티스트들이 많아짐에 따라 코로나 19를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과 믿음을 사람들에게 부여해 줄 힘을 보는 이로 하여금 받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대학교 > 대학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읽기와보기] THE POST 영화감상문 제작 기획서 (0) | 2021.08.21 |
---|---|
[프로그래밍활용] Python Workspace Final Term (0) | 2021.08.21 |
[프로그래밍활용] Python Workspace Mid Term (0) | 2021.08.21 |
[기초통계학] 14주차 과제 (0) | 2021.08.16 |
[디지털미디어의이해] 디지털컨버전스 발표 원고 (0) | 2021.08.16 |